FOMC 12월 15일 회의내용 전문
The Committee seeks to achieve maximum employment and inflation at the rate of 2 percent over the longer run. In support of these goals, the Committee decided to keep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at 0 to 1/4 percent. With inflation having exceeded 2 percent for some time, the Committee expects it will be appropriate to maintain this target range until labor market conditions have reached levels consistent with the Committee's assessments of maximum employment. In light of inflation developments and the further improvement in the labor market, the Committee decided to reduce the monthly pace of its net asset purchases by $20 billion for Treasury securities and $10 billion for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Beginning in January, the Committee will increase its holdings of Treasury securities by at least $40 billion per month and of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by at least $20 billion per month. The Committee judges that similar reductions in the pace of net asset purchases will likely be appropriate each month, but it is prepared to adjust the pace of purchases if warranted by changes in the economic outlook. The Federal Reserve's ongoing purchases and holdings of securities will continue to foster smooth market functioning and accommodative financial conditions, thereby supporting the flow of credit to households and businesses.
In assessing the appropriate stance of monetary policy, the Committee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implications of incoming information for the economic outlook. The Committee would be prepared to adjust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as appropriate if risks emerge that could impede the attainment of the Committee's goals. The Committee's assessments will take into accoun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readings on public health, labor market conditions, inflation pressures and inflation expectations, and financi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s.
조금 늦은감이 있지만
지난 15일 연준의 FOMC 회의내용을 가져왔습니다.
연준목표는 최대고용, 인플레이션
'2%' 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2021년 기준금리는
0~0.25 % 수준을 유지합니다.
내년에 어떤 이벤트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23~24년 점도표는
크게 의미를 두지 않겠습니다.
연준의원들은
22년엔 0.75~1.0 %를 전망했는데
이는 최소 연 3회 금리인상을 의미합니다.
테이퍼링 속도는 예상대로
기존보다 2배 빠르게 진행됩니다.
국채 100억 → 200억 달러
모기지 50 → 100억 달러
2021.11.23 - [투자이야기/투자공부] - [투자용어공부] 테이퍼링(Tapering), 11월 미 연준(FED)의 테이퍼링 발표와 향후 전망
그치만 밑밥의 황제 우리의 연준은
but it is prepared to adjust the pace of purchases
if warranted by changes in the economic outlook
"근데 경제상황보고
매입속도 바꿀수도있음"
위 내용은 느껴지는 체감상
실업률 증가
물가 하락
이런 국면이면 테이퍼링 속도를
다시 늦출수 있다는 말 같고..
The Committee would be prepared
to adjust the stance of monetary policy
as appropriate if risks emerge that could impede
the attainment of the Committee's goals
"근데 우리목표 방해하는 위험이 발생하면
통화정책 조정할거야"
위 내용은
물가 7 % 빠르게 돌파
실업률 감소
이러면 곡소리나더라도
더 빨리 금리올린다는 느낌입니다.
아무튼 연준이 고려하는 주요경제 상황은
공공보건/노동상황/인플레이션
/경제/국제적개발(아마도 공급망 개선?)
이렇다고 합니다..
공공보건이 가장 앞선 키워드내요?
느낌적인 느낌은..
화이자 치료제 풀리는 시점과
금리인상 시점이 일치할 것 같습니다.
매번 연준 의도파악하는게
은근 재밌네요.
오늘도 모두 성투하시고
행복하세요:D
'투자이야기 > 경제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7% 돌파, 연준 양적긴축 신호탄? (0) | 2022.01.13 |
---|---|
제롬파월 연준의장 1월 청문회내용 (0) | 2022.01.12 |
[과거데이터 분석] 미국 증시 조정? 다가오는 2022년 준비하기!! (0) | 2021.12.21 |
[인플레이션] 미국 11월 물가상승률 6.88%, 1982년 이후 39년만에 최대치 (0) | 2021.12.11 |
[정보] 신종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에 흔들리는 증시, 얼마나 위험한 변종 바이러스일까 (0) | 2021.11.29 |